생일을 맞이해서 대게나라에 다녀왔움니다.

생일 예약을하면 와인?샴페인 이였나가 무료랬는데

두명은 예약 안해도 된다해서 안했는데

대게먹으면서 같이먹으면 좋을거같다는 생각이들어 담에 생일이면 꼭예약하고 와야겟단 생각을 했습니다.

생일이신 분들 예약하고 가셔서샴페인 받으세요^ㅡ^,,,


코스식으로 요리가 나오는 식당입니다

처음에 죽과 샐러드와 에피타이저인 연어회?로 입가심을했어요
죽이 맛있었습니다~~~세그릇도가능할거같은 맛


그담엔 해초가아니라 특별요리 3가지를 먼저주셨어요~
 
좌측부터 게살튀김ㅡ닭튀김ㅡ불고기(?) 입니다 ㅎㅎㅎ

딱 저순서대로 맛있었습니당


그리고 코스 순서가 좀 뒤바뀌었지만

신선회와 해초가 함께 나왓어요 ㅎㅎ

해초는 잘안보이지만 미역이 맛잇었고
갈치젓갈을 찍어먹는데 고추를 곁들여먹으면 아주 매콤하고 맛잇더라구용

그담에 본격적인 메인요리인 대게가 나왔습니다

저희는 작은거 두마리 대신 큰거 한마리로먹었서요ㅎㅎ

살이 실하고 정말 맛있었습니다.ㅎㅎ


먹는중에 꽃게탕과 오징어무침도주셧어요~ 곁들여먹으니 맛잇더라구오

맛있게 게를 발라먹고 마무리는 볶음밥!!!!!!!!!




맛잇는 요리를 배부르게먹으니기분이 좋더라구오~~~
직원분들 정말 친절하시구요

특별한날에 예약하고 다시방문해보려구용

잘먹엇습니다^*

마무리는 실한 대게로!

76~79, 99~103, 122, 130~132, 135~141, 152, 171~175

<프레임의 종류>

1. 키프레임(Keyframe) : 오브젝트의 위치와 크기 등을 지정하는 프레임으로, 키프레임 없이 오브젝트를 만들 수 없음

2. 빈 키프레임(Blank Keyframe) : 오브젝트가 없는 상태

3. 프레임(Frame) : 키프레임에 관한 내용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함

4. 선택된 프레임(Selected Frame) : 선택된 프레임에 색상이 표시됨

5. 모션 트위닝(Motion Tween) : 모션 트위닝이 적용된 프레임은 클래식 모션 트위닝과 다른 하늘색으로 표시됨

6. 모션 키프레임(Motion Keyframe) : 모션 트위닝이 적용되면 오브젝트에서 변화가 생기는 부분에 표시됨

7. 셰이프 트위닝(Shape Tween) : 심볼 상태가 아닌 분해된 오브젝트, 즉 도형 상태로 트위닝을 만들 때 프레임 색상이 표시 됨

8. 클래식 모션 트위닝(Classic Motion Tween) : 플래시 CS3 이전 버전의 모션 트윈으로,  프레임에 화살표가 표시됨

9. 잘못된 모션 트위닝 : 화살표 ㅐ신 점선으로 표시되어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림

10. 사운드 프레임 : 사운드가 적용된 프레임으로, 프레임에 사운드 파형이 표시됨

11. 레이블 프레임 : 프레임을 제어하기 위해 레이블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적용된 레이블에는 빨간색 깃발이 표시됨

12. 액션스크립트 프레임 : 액션스크립트가 적용되면 키프레임 위쪽에 'a'가 표시됨


<Timeline 패널의 구성 요소>

1. Layer :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프레임과 모션 트위닝 등을 표시

2. New Layer : 새로운 레이어를 추가

3. New Folder : 레이어를 정리하는 폴더를 만듦

4. Delete : 선택된 레이어를 삭제

5. Go to first frame : 시작 프레임으로 이동

6. Step back one frame : 1프레임 이전의 프레임으로 이동

7. Play : 스테이지에서 애니메이션을 재생

8. Step forward one frame : 1프레임 이후의 프레임으로 이동

9. Go to last frame : 마지막 프레임으로 이동

10. Center Frame : Timeline 패널의 프레임뿐만 아니라 선택된 레이어를 패널 가운데로 이동. 이때 실제 프레임이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보이는 위치만 이동

11. Loop : 애니메이션을 반복 재생함

12. Onion Skin : Timeline 패널에서 여러 개의 프레임에 대한 모션 트윈, 키프레임에 따른 오브젝트 변화 등 한번에 여러 개의 프레임 무비를 확인

13. Onion Skin Outlines : Onion Skin에서 보이는 오브젝트, 무비의 변화를 외곽선 형태로 표시

14. Edit Multiple Frames : 다양한 프레임에 관련된 어브젝트 및 모션 트윈을 수정

15. Modify Markers : Onion Skin이 적용되는 벙위를 선택할 수 있음

16. Current Frame : 선택되었거나 플레이 헤드가 위치한 프레임을 표시

17. Frame Rate : 1초당 재생되는 프레임 수를 표시

18. Elapsed Time : 현재 선택된 프레임 또는 플레이 헤드 위치까지 재생되는 시간을 표시

19. Show or Hide All Layers : Timeline 패널의 모든 레이어를 숨기거나 표시

20. Lock or Unlock All Layers : Timeline 패널의 모든 레이어의 잠금 상태를 설정

21. Show All Layers as Outlines : 모든 레이어에 속한 오브젝트를 외곽선 형태로 표시

22. 플레이 헤드 : 현재 재생되는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 레이어에서 프레임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이덩

23. Timeline 패널 옵션 : Timeline 패널에 관련된 옵션을 설정



<Timeline 패널의 레이어>

1. 일반 레이어 :  기본 레이어

2. 마스크 레이어 : 마스크로 적용할 형태가 지정된 레이어. 마스크가 적용된 레이어에서 마스크 오브젝트에 속하는 영역만 보임

3. 마스크가 적용된 레이어 : 마스크 효과가 적용될 레이어를 표시하며, 마스크 레이어보다 단추와 레이어 이름이 약간 오른쪽으로 이동

4. 가이드가 적용된 모션 트윈 : 가이드 레이어에 적용되는 모션 트윈 레이어는 가이드 레이어보다 약간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가이드 레이어에 포함된 것을 표시함

5. 모션 트윈이 적용된 레이어 : 클래식 모션 트윈이 아닌 일반 모션 트윈일 때 모션 트윈 레이어로 표시

6. 폴더 : 레이어를 정리할 수 있는 폴더 단추 앞쪽에 표시된 '내림' 단추(▼)를 누르면 폴더에 속한 레이어를 숨기거나 펼친 상태로 만들 수 있음

7. 폴더에 속한 레이어 : 폴더에는 레이어 종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폴더 아래쪽에 약간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표시됨



<Scene 패널>

Scene(스테이지)에는 정지 화면과 움직이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메뉴에서 [Window] → Other Panels → Scene(Shift+F2)를 실행하여 Scene 패널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1, Add Scene : 새로운 Scene을 추가함

2. Duplicate Scene : 선택한 Scene을 복제함

3. Delete Scene : 선택한 Scene을 삭제함



<플래시 활용 분야>

1. 애니메이션

2. 웹 사이트

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4. 게임

5. 전자 카탈로그, e-book

6. 광고

7. 프레젠테이션



<플래시 CS6의 새로운점 알아보기 :New In Cs6>

-새로운 HTML5 지원

-스프라이트 시드 생성

-다양한 플랫폼 및 기기 지원

-스테이지 3D 타깃팅

-PNG 시퀀스 형태로 내보내기

-사전 패키지화된 Adobe AIR 애플리케이션 제작

-Adobe AIR 모바일 시뮬레이션



<플래시 기본 화면 살펴보기 :작업화면>


1. 메뉴 표시줄 : 플래시에서 사용하는 기능이 탭 형식으로 묶여있음

2. 문서명=도큐먼트탭 : 활성화된 도큐먼트를 탭 형식으로 제공. 플래 시CS4부터 제공되는 기능

3. 네이게이터 : 작업 중 장면 또는 심볼의 경로를 표시

4. 장면 편집 : 장면과 장면사이를 이동

5. 심볼 편집 : 현재 도큐먼트에 적용된 심볼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심볼의 편집 창으로 이동하여 심볼을 수정할 수 있음 (사진상에는 없음)

6. 스테이지 보기 비율 : 스테이지의 보기 비율을 변경할 수 있음

7. 스테이지 : 실제 무비가 보이는 영역

8. Timeline 패널 : 애니메이션의 시간적인 흐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레이어와 시간의 개념이 결합되어 있음

9. Dock : 각종 패널들이 위치하는 곳으로, 축소와 확대 형태를 제공함

10. Tools 패널 : 플래시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단추 형태로 제공하는 패널. 관련 툴끼리 묶여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

11. 작업 환경 설정 : 다양한 작업 환경을 선택할 수 있음. 메뉴에서 [Window] → Workspace 를 실행하거나 작업 환경 설정 메뉴에서 확인 또는 변경할 수 있음

12. 도움말 검색 : 도움말을 검색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함



ⓐ Animator : 모션 그래픽 디자이너를 위해 애니메이션 제작이 편리하도록 Align, Scene, Motion Presets 패널 등이 표시됨

ⓑ Classic : 플래시 CS4 이전 버전과 비슷한 형태로 패널과 레이아웃이 변경되며, Properties 패너링 오른쪽에 배치됨

ⓒ Debug : 테스트 무비를 실행할 떄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기 편리하도록 오류 메시지 출력을 위한 Debug Console 패널이 표시됨

ⓓ Designer : 웹 디자이너를 위해 웹 디자인 관련 작업이 편리하도록 Tools 패널의 형태가 변경되며, Timeline과 Color패널 등이 표시됨

ⓔ Developer : 액션 스크립트 또는 플래시 관련 소스 개발자를 위해서 Project, Library, Properties 패널 등이 표시됨

ⓕ Essentials : 플래시의 핵심 메뉴와 패널만을 표시하여 기본 작업을 편리하게 함

ⓖ Small Screen : 패널들을 최소화하여 스테이지의 활용도를 높임




<Tools 패널과 툴 살펴보기>




<테스트 무비 실행하기>

Control + Enter



<도큐먼트 크기 변경하기>

Properites 패널에서 Propeties 항목의 'Edit document properties' 단추를 눌러서 변경

3D에 체크표시 해제, Scale content with stage에 체크표시 활성화




1.1공학과 공학자


-공학인지 무엇인지 정의

-공학자의 기본 소양인 10가지 학습성과를 나열

-공학자가 해결해야 할 공학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




1.1.1공학이란?

공학(engineering)이란?

-문제 해결의 학문이며,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용적인 학문

-인간의 삶을 물질적으로 더 풍요롭게하고, 환경적으로 더 안전하고 쾌적하게 만들기 위한 지식과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매우 광범위한 학문




1.1.2 공학자의 기본 소양


공학자- 공학분야에 종사하는 사람.

과학자와 공학자의 비교 -과학자의 소임이 '아는 것'이라면, 공학자의 소임은 '하는 것'

   -과학자는 물리계의 실증적이고 체계화된 지식에 새로운 지식을 추가하고, 공학자는 이런 지식을 실용적인 문제에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함.


<ABEEK 공학교육인증 기준의 10가지 학습 성과>

1_기초 지식 응용 : 수학, 기초과학, 공학의 지식과 정보기술을 공학 문제 해결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2_분석 및 실험 :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어진 사실이나 가설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능력

3_문제 인식 및 정의 : 공학 문제를 정의하고 공식화할 수 있는 능력

4_문제해결 : 공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신 정보, 연구 결과, 적절한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5_설계 및 실무 : 현실적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 요소, 공정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

6_팀워크 : 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팀의 구성원으로서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7_의사소통 및 국제화 : 다양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8_영향 평가 : 공학적 해결방안이 보건, 안전, 경제, 환경, 지속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9_직업 윤리 및 책임감 : 공학인으로서의 직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10_자기게발 및 자기주도적 학습 :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






1.1.3 공학 문제와 공학자의 임무


공학문제(engineering problem)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의성아니 안전성, 효율성, 경제성 등을 개선시키는 것과 관련된 모든 문제


공학자의 임무

-공학 문제를 해결하는 것


★21세기 공학자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남들보다 먼저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창안하는 문제 인식 능력이 필요하다.

★21세기 공학자의 임무란 잠재된 공학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1.2 창의성


-창의성이 무엇인지 정의

-창의성의 속성을 나열

-공학자에게 요구되는 창의성이 무엇인지 설명

-창의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1.2.1 창의성이란?


창의성(creativity)의 정의 

-심리학 문헌에만 60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정의가 존재함


미국의 심리학자 길포드(J.P.Guilford) 박사의 정의(20C 중반)

"창의성은 유연성,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을 의미한다."


-일반인도 얼마든지 창의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중요한 계기가 됨

-창의성은 전혀 새로운 것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일상을 새로운 눈으로 보는것.


공학에서의 창의성

-창의실용: 창의적 발상과 방법을 통해 실용적인 결과를 얻는 것


창의적 문제 해결의 주요 속성

문제인식→문제정의→문제점검→아이디어도출<참신성,실용성>→아이디어실현→문제해결<창의적 발상 도구 활용, 목적 지향척>






+ Recent posts